-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자동차검사를 받으라고 알림이 왔습니다. 2020년부터 자동차검사소는 예약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검사 가능 기간 내에 예약하시고 준비물 "자동차 등록증"을 가지고 방문하셔서 자동차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기간 내에 검사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도 낼 수 있으니 기간 내에 자동차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오늘은 자동차검사 및 예약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자동차검사 목적 종류 수수료 감면 과태료 알아보기
자동차 검사 설명 및 예약 방법 과태료 수수료 알아보기
자동차검사란?
운행중인 자동차의 안전도 적합여부 및 배출가스 허용기준 준수 여부 등을 확인하여 교통사고와 환경오염으로부터 국민의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자동차검사 뜻 합니다.
자동차검사 목적
운행중인 자동차의 안전도 적합여부를 판별하여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소음 및 배출가스로부터 환경오염을 예방합니다. 또한 자동차의 동일성 확인을 통해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있으며, 책임보험 가입 여부 확인 및 불법 튜닝을 확인하여 주행 질서 확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검사 종류
● 신규검사
자동차를 신규등록을 하려는 경우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 정기검사
'자동차 검사'는 정기검사를 자동차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종합검사
배출가스 정밀검사 시행 지역에 등록된 자동차 및 특정 경유자동차에 대하여 실시하는 자동차 검사입니다.
● 튜닝 검사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자동차를 튜닝한 경우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자동차검사 수수료 안내
검사종류 경형 소형 중형 대형 정기검사 17,000원 23,000원 26,500원 29,000원 종합 검사 부하 48,000원 54,000원 56,000원 65,000원 무부하 34,000원 39,000원 45,000원 49,000원 배출면제 15,000원 20,000원 24,000원 26,000원 신규 검사 국내부활 30,000원 33,000원 35,000원 인증면제 131,000원 (자기인증 면제확인 수수료 11,000원 포함) 자동차검사 수수료 감면 안내
●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 시 수수료의 일정 비율을 감면하고 있습니다.
감면대상 감면률 장애인자동차표지가 발급된 차
(장애인복지시설, 장애인 복지단체 등 제외입니다.)중증 : 50%
경증 : 30%국가유공자 등 보철용 자동차표지가 발급된 차 80% 한부모가족지원법에 의한 지원 대상자 소유로 등록된 차 80% 기초생활수급자 소유로 등록된 자동차 주거급여수급자, 교육급여수급자, 보장시설수급자는 제외
(주거급여수급자, 교육급여수급자, 보장시설수급자는 제외)100% 자동차사고로 인한 피해자가족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는 자로 사고 당사자 또는 사고 당사자의 2촌이내의 직계 혈족 소유로 등록된 차 80% 만 18세 이하의 자녀가 3명 이상인 가정의 세대주(배우자 포함) 소유로 등록된 차 15% TS교통안전 의인상 수상자 소유로 등록된 차 100% "소유로 등록된 자동차"란 자동차등록증 상 대표 소유자 명의로 등록된 자동차를 말합니다.
자동차 검사 절차 안내
1. 자동차 관능검사
2. ABS 검사
3. 하체 검사
4. 전조등 검사
5. 배출가스 검사
6. 검사 결과 설명
※ 자동차 검사 과태료
● 자동차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를 기간 내에 받지 아니할 경우 6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실수 있습니다.
위반기간 과태료 기간 만료일로부터 30일 이내 4만 원 31일째부터 매3일 초과 시 2만원씩 가산 115일 이상 60만 원 과태료를 내지 않으시려면 꼭 기간 내에 받으셔야 합니다.
자동차검사 PC, 모바일 예약 방법
★ 한국교통안전공단 예약 바로가기
한국교통안전공단 바로가기1. 자동차검사 PC 예약 방법
자동차 등록번호와 주민번호 앞 6자리를 입력 → 검사정보와 예약정보 입력 → 날짜 선택한 후 검사소를 선택 → 검사소 선택 → 예약 시간 선택 → 결제 → 결제수단 선택 결제 완료
2. 모바일 예약 방법
자동차 검사예약 → 자동차 검사예약 → 검사 종류 자동차 검사 → 정보 입력
검사소와 예약일을 선택해주신 후 간단한 정보 입력 후 결제를 하면 예약이 완료입니다.
예약일에 예약한 자동차검사소에서 감사를 받으시면 됩니다. 준비물은 자동차 등록증을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기간 내에 예약하시고 과태료를 내지 않게 시간 내셔서 자동차검사받으세요.